'장자'에 해당되는 글 1건

  1. 가나다라 2007/05/10

가나다라

from text 2007/05/10 23:02
퇴근길에 라디오에서 송창식의 가나다라를 들었다. 어쩌다 보니 서연이에게 맨 처음 가르쳐준 노래이기도 한데, 그래서 이 녀석이 동성로 한복판에서 갑자기 큰 소리로 가나다라마바사아 노래를 부르는 바람에 여러 사람 즐겁게 한 적도 여러 번이었는데, 역시 천재란 이런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이 아닌가 생각한다.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에헤헤 으헤으헤 으허허
하고 싶은 말들은 너무너무 많은데 이내 노래는 너무너무 짧고
일이삼사오륙칠팔구하고십이요 에헤헤 으헤으헤 으허허
하고 싶은 일들은 너무 너무 많은데 이내 두 팔이 너무 모자라고

일엽편주에 이 마음 띄우고 허 웃음 한번 웃자
어기여 어기여 어기여 어기여
노를 저어 나아가라 가자 가자 가자 가슴 한번 다시 펴고

하늘천 따지 검을현 누루황 에헤헤 으헤으헤 으허허
알고 싶은 진리는 너무너무 많은데 이내 머리가 너무너무 작고
일엽편주에 이 마음 띄우고 허 웃음 한번 웃자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 에헤헤 으헤으헤 으허허
좇고 싶은 인물은 너무너무 많은데 이내 다리가 너무너무 짧고
갑자을축병인정묘무진기사경오신미 에헤헤 으헤으헤 으허허
잡고 싶은 순간은 너무너무 많은데 가는 세월은 너무 빠르고

일엽편주에 이 마음 띄우고 허 웃음 한번 웃자
어기여 어기여 어기여 어기여
이리 뛰고 저리 뛰고 뱅글 뱅글 뱅글 다시 보면 다시 그 자리

중건천 중곤지 수뢰둔 산수몽 에헤헤 으헤으헤 으허허
하늘 보고 땅 보고 여기저기 보아도 세상만사는 너무너무 깊고
일엽편주에 이 마음 띄우고 허 웃음 한번 웃자
일엽편주에 이 마음 띄우고 허 웃음 한번 크게 웃자고


무료하다, 요즘. 뭔가 밀린 일들을 한꺼번에 끝내고 따분한 일상을 맞는 기분이긴 한데, 한꺼번에 끝낸 일도 없고 일상은 어째 낯설기만 하다.

서연이를 재울 때나 딱히 놀이거리가 없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 보면 이 녀석이 금방이라도 울 듯한 표정으로 먼 곳을 바라보는 눈빛이 될 때가 있다. 하다 보면 어쩔 수 없이 나오게 되는 죽음이나 떠남 같은 이야기에는 전혀 동요가 없지만, 자신의 먼 미래나 좀 지난 이야기를 할 때면 뭔가 아득한 느낌을 받는가 보다. 혼자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고 있구나 하는 게 전해지면서 가녀린 짐승을 안고 있는 듯 그 감정에 전이되어 나도 꽤 아득해지곤 한다.

사과나 복숭아 같은 과일에 있는 벌레를 모르고 먹으면 예뻐진다는 말이 있었다(딴 얘기지만 벌레 먹은 사과가 맛있다는 영화도 있었지, 아마). 이제 벌레 먹은 과일이나 과일에서 나온 벌레를 보기란 목사나 장로가 천국에 가는 것만큼이나 어렵게 되어버렸지만, 우리가 우리끼리 살겠다고 바둥치는 건 내가 내 혼자 살겠다고 바둥대는 것보다 더욱 위험한 일이 되어버린 것이다.

사람도 틀림없이 동물인지라 생명체로서의 기본적인 욕구에 해당하는 것에 대하여 왈가왈부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섬세하기까지 한 동물이라 그 다채로운 결들에 있어서랴. 그러나 우리는 바로 그렇기 때문에 그 기본적인 욕구에 충실한 놈들을 얼마간 경멸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살아갈 도리야 옛 사람들이 이미 마르고 닳도록 설해 놓았지만, 때로 우리는 ‘현실’이라는 장벽 앞에 대책 없이 주저앉곤 한다. 개도 안 물어갈 현실 앞에.

오늘 돌아다니다 만난 한 구절, 태산은 한 줌의 흙도 사양하지 않아 그 높음을 이룰 수 있었고, 하해는 작은 물줄기도 가리지 않아 그 깊음을 얻을 수 있었다(泰山不讓土壤 故能成其大 河海不擇細流 故能就其深). 시중에서 흔히 쓰는 의미나 출전의 본래 뜻과 관계없이 아옹다옹거리는 세상사를 빗대는 것 같아 오히려 장자연하게 와닿아 한참을 들여다보았다.


* 한 백만년만에 책 몇 권 주문하였다. 윤중호의 고향길, 움베르토 에코의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묻지 맙시다, 고종석의 바리에떼. 얼마동안 읽을 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