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

from text 2007/11/21 21:43
길었다. 은유할 길이 없었다. 지난 가을
두어 세월은 지낸 듯
늙은 몸이 감당하기 버거워
긴 호흡을 배웠다. 마디로 마디를 밟으며
나무를 건너는 동안
나무를 건너기 전의 나는 어디론가 가버리고
나무를 건너기 전의 나는 다시 만날 수 없겠지만
돌아보면 저만치
줄 끝에 매달린 그리움, 서러움.

그때, 지나며 보았지. 그렇게 무언가는 내려놓고, 무언가는 지고
계절을 나는 나무들, 잎보다 무성한 가지로도 가릴 수 없는 치부
나를 닮은 내 긴 그림자.
Tag // , ,

봄이 오면

from text 2007/11/04 18:49
겨울은 길고 그 겨울이 잉태하는 봄은 그 겨울을 어떻게 나느냐에 달렸겠지요. 알 수 없는 것들에 너무 마음 쓰지 말아요. 늘 피는 꽃이라고 또 피라는 법이 있을까? 늘 돌아오는 봄이라지만 다시 오지 않을지도 모르는 걸요. 소식 들었나요? 어느 동네에선 햇살 가득한 봄날 속으로 고운 할머니 하늘거리며 한 고개 넘어가실 때에 나비들이 나풀나풀 등 떠밀어 드린대요. 잘 사셨다고, 잘 가시라고.
오늘 아침 이야길 들으니, 서연이 녀석, 피아노학원에서 높은음자리, 낮은음자리를 익히고 진도가 꽤 빠른 모양이다. 가장 어린 나이임에도 전부터 배우고 있던 몇몇 아이들의 진도를 넘어섰다니 말이다. 그보다 더 즐거운 일은 아마도 이 녀석 바이러스에 감염된 선생님들이 거칠고 어설픈 모양을 버리고 친절하고 부드러워졌다는 것이다. 마음대로 착각한대도 할 수 없다.

그저께 아침에는 글씨 쓰는 일에 재미 붙인 녀석의 노트를 들춰보다 깜짝 놀란 일이 있다. '나는 가을에 피는 꽃이에요', 놀라는 마음 한편 밀려오는 어떤 감동을 느끼며 한참 되읽고 되읽었다. 그리고 다른 장을 펼쳐보는데, 거기에는 '나는 봄에 피는 꽃이에요', '나는 겨울에 만드는 거예요'가 써있지 않은가. 이런, 알고 보니 우리가 즐겨하는 수수께끼 놀이를 옮겨놓은 것이었다. 허나, 착각도 이런 착각이라면 평생을 하고 싶달밖에.

현실이라는 것에 반쯤만 발을 딛고 무언가에 취해 일생을 보낸다면 행복할 수 있을까 생각해본 적이 있다. 워낙에 현실에 굳건히 뿌리내리고 있는 사람들을 싫어하기도 하지만, 어쩌면 반쪽 살다 가는 삶일 수도 있을 텐데, 그러면 결국 마지막 갈 때 웃으며 즐거웠다고 할 수 있을까. 알 수 없는 일들이 점점 많아진다.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