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from text 2009/10/26 23:31
뒷울타리의 산수유꽃
흙담장 아래 코딱지꽃
부황든 들판의 보리꽃
수채구멍의 지렁이꽃
누이 얼굴의 버짐꽃
빚 독촉 아버지의 시름꽃
피는 봄밤에 몰래 집 나왔었는데
이젠 다시 살구꽃 피는
고향 그리워

김용락 선생의 시 고향 전문. 어제 신천을 지나 고산골로 해서 심신수련장 입구로 걸어 나오다 전류가 흐르듯, 끄트머리 길가에 걸린 이 꽃들을 만났다. 노래도 있다면서 그 옛날 문배형이 부르던 걸 기억하며 동행한 서연이에게 첫 소절을 불러주다 말고 왈칵 울음이 쏟아져 다 부르지 못하였다. 제대로 들어보고 싶어 찾아보니 같은 제목으로 민중문화운동연합의 노래모음 10집 '누이의 서신'에 실린 것과 코딱지꽃이라는 제목으로 2절 가사까지 붙인 백창우의 것이 있다. 책장에 꽂힌 그의 두 번째 시집 '기차 소리를 듣고 싶다'를 꺼내 살펴보니 뒷날개에 고향 그 노래가 김용락의 시였다니- 운운 메모가 있고, 염무웅의 해설에 첫 시집 '푸른 별'에 실린 시의 전문이 옮겨져 있다.

가을, 문득

from text 2009/10/03 23:07
나에겐 결정권이 없어. 인생은 매순간이 갈림길이고 선택이지. 어느 순간 당신은 선택을 했어. 다 거기서 초래된 일이지. 결산은 꼼꼼하고 조금의 빈틈도 없어. 그림은 그려졌고 당신은 거기에서 선 하나도 지울 수 없어. 당신 뜻대로 동전을 움직일 수는 없지. 절대로. 인생의 길은 쉽게 바뀌지 않아. 급격하게 바뀌는 일은 더구나 없지. 당신이 가야 할 길은 처음부터 정해졌어.

코맥 매카시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중에서. 추석 연휴 전날, 벼르던 이사를 했다. 결혼하고 다섯 번째 집. 일이 되려니 그렇게 된 것이겠지만 어떻게 그럴 수 있었나 싶을 만큼 일이 맞물려 돌아가 한편 내몰리듯이 일이 진행되었다. 주공에서 미분양 아파트를 매입하여 임대하는 것으로, 첫째가 내년에 갈 초등학교는 거리가 좀 있어 아쉽지만 두 사람 직장이나 둘째를 봐주시는 어머니 댁에서 두루 가까워 좋다. 곱절 가까운 전세금에다 새로운 공간에 맞춰 거실에 소파며 책장을 들이고 낡은 세탁기를 바꾸고 아이 방에 침대와 책걸상, 책장 등을 놓으니 모양은 그럴듯한데 먹고사는 일이 새삼스럽다. 무릇 십만 원을 쓸 때 고민하던 것이 만 원 한 장 쓸 때 고민하게 되면 그것을 쓸 때 누리는 혜택과 즐거움은 물론, 더러 만 원, 십만 원이 생겼을 때 얻는 기쁨 또한 열 배는 될 터, 이제야 벌고 쓰는 재미를 제대로 배우려나 모르겠다만.

이달 말이면 이 별에서 꼬박 마흔 해를 보내게 된다. 빤히 치어다보는 가을, 문득 묻어나는 얼굴이 바람처럼 맵고 흐리다.

지우개

from text 2009/09/18 16:13
지우다 보면 지우는 지우개도 지워지기 마련, 지운 기억도 그렇게 지워질까.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