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경

from photo/D50 2010/02/17 10:16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 이름은 이스마엘이다. 몇 해 전인가 내 지갑은 거의 바닥이 나고 또 뭍에서는 무엇 하나 흥미를 느낄 만한 것도 없었으므로, 나는 얼마 동안 배를 타고 나가 넓고 넓은 바다를 한번 살펴보았으면 하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우울한 기분을 털어 버리고 피의 순환을 돕기 위해서는 그 방법이 필요했던 것이다. 입가에 험상궂은 주름이 늘 때, 11월의 가랑비처럼 마음속에 축축한 비가 내릴 때, 또 문득 장의사 앞에서 길을 멈추고 길에서 만난 장례 행렬을 뒤쫓게 될 때, 특히 우울한 기분이 나를 지배하게 되어 웬만큼 강한 도덕적 자제 없이는 마구 거리로 뛰어나가 타인이 쓰고 있는 모자를 강제로 벗겨 버리고 싶어질 때, 그런 때면 더욱더 빨리 바다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나에게는 권총과 탄알의 대용물이 되어 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휩쓸어 가는 물결이 어지럽게 엇갈리면서 큰 돛대 위에 마지막 가라앉아 가는 인디언의 머리 위를 덮었고, 남아 있는 것이라곤 다만 곧게 서 있는 둥근 목재 몇 인치와 또 거의 같은 높이로 아슬아슬하게 밀려온 무서운 파도에 박자를 맞추며 얄궂게 나부끼던 기다란 깃발뿐이었다. 그 순간, 붉은 빛 팔과 뒤로 들어 올린 망치가 공중으로 밀려 올라오면서 그 깃발을 서서히 가라앉으려는 그 둥근 목재에 더욱 단단히 못 박아 놓으려 하고 있었다. 한 마리의 매가 별 사이의 자신의 보금자리에서 내려와 큰 돛대 꼭대기로 다가오더니 비웃듯이 깃발을 부리로 쪼아 보기도 하며 태쉬테고를 방해하고 있었는데, 그 새가 어쩌다가 그 커다란 날개를 망치와 목재 사이에 끼워 넣자, 금세 물속의 야만인이 죽음의 숨결을 헐떡이며 그 망치를 거기에 내려치다가 그대로 굳어 버렸다. 하늘 위의 새는 대천사 같은 소리를 지르며 왕자다운 부리를 하늘로 쳐들고, 그 사로잡힌 몸은 에이허브의 깃발에 싸여 그의 배의 길동무가 되어 가라앉아 갔다. 이때 작은 해조의 무리가 아직도 입을 벌리고 있는 심연 위를 소리 높이 울어 대며 날고 있었다. 깊고 깊은 물가의 험한 측면에서는 슬픈 듯 흰 파도가 굽이쳐 부딪치고 있었다. 이제 모든 것은 무너졌고, 바다의 커다란 수의는 5천 년 전에 굽이치던 것과 마찬가지로 굽이치고 있었다.

허먼 멜빌의 백경(현영민 옮김, 신원문화사) 1장 어렴풋이 보이다의 첫 문단과 135장 추적, 제3일의 결말 마지막 문단. 장엄한 세계, 그 허망한 종말이 수많은 잠언들 속에 끊임없이 명멸한다. 불멸에 대한 필멸하는 욕망들의 처연한 서사시.
Tag //

유치원 발표회 2

from photo/D50 2010/02/06 05:58
어린이집에서의 첫 재롱 잔치두 번째 재롱 잔치 그리고 지난해 유치원 발표회에 이은 취학 전 마지막 발표회. 커가는 걸까, 사진 속 녀석의 얼굴은 갈수록 지치고 무표정해 보인다. 녀석에게도 나름의 병리학 하나쯤 들어설 때면 나는 어떤 모양으로 늙어 있을까. 화병에 옮겨 거실 한 귀퉁이에 놓아둔 연분홍 튤립이 밤새 화사하다. 기울었던 종 모양들이 일제히 천장을 향하고 있다. 나무들의 동태를 보니 바깥에서는 바람도 많이 잦아들었다. 76개월, 관계와 죽음에 대한 관심이 부쩍 많은 녀석에게도 세상에게도 깊은 평화를.

어린 철학자

from text 2010/01/31 00:50
며칠 전 출근길. 아빠, 아빠는 몇 살까지 살고 싶어? 난데없는 물음에, 음, 백 살? 하고 대답하고는 잠시 뜸을 들였다가 되물었다. 서연이는? 이즈음 어린 철학자의 대답은 이랬다. 나는 아빠 죽을 때까지. 아무 말도 더 하지 못하고, 그저 겨울 아침 공기가 후끈한 것만 같았다.

그보다 며칠 전에는 자려고 누워서 갑자기 훌쩍거리며 울기 시작하여 이유를 물었더니, 엄마 죽으면 서율이는 어떻게 해? 만약에 죽으면 어떡하냐고? 아빠도 죽을 거잖아? 했었다. 부쩍 그쪽으로 생각이 많은 모양이다. 오늘은 나더러 이백 살까지 살란다. 저와 나의 나이 차를 꼽아보더니 자기는 백예순여섯까지 살 거라며. 서율이도 봐야 하니 너는 더 오래 살아라 했더니 그예 콧잔등이며 눈시울이 빨갛게 부어오른다.

이갑용의 길은 복잡하지 않다와 신현칠의 변하지 않는 것을 위하여 변하고 있다를 달아서 읽었다. 눈앞이 뿌예지고 가슴이 먹먹해 책에서 눈을 뗄 수밖에 없는 대목이 적지 않았다. 나를 포함하여 주변이 온통 자유로울 수 없는 일이지만, 대개 한 줌의 부와 한 주먹도 안 되는 기득권에 기대 제 존재와 그 기반을 배반하는 가련함과 가상함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한 터럭의 안락에 기대 예의와 염치로부터 순정과 열정에 이르기까지 깡그리 외면하고 욕망의 심층에 무릎을 꿇고 마는 것도 시대요, 유행인가. 이제 누가 있어 세계를 마음껏 재구성해 보란다면 지금보다 나은 세상을 떡하니 그려낼 수나 있을까. 다음은 신현칠이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에 관한 책에서 보았다는 시구.

나는 신을 보려고 찾았지만 / 보이지 않았다. / 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보려고 찾았지만 / 보이지 않았다. / 나는 고통하는 형제들을 만나서 / 신도 그리스도도 형제도 보았다. / 그리고 우리들은 함께 / 걸어가기 시작했다.

* 처음 사진집을 샀다. 재출간된 전몽각의 윤미네 집. 따뜻한 시선이 잔뜩 묻어나는 사진만큼이나 잔잔한 기품이 배어나는 글도 좋았다.

* 일요일 오후, 서연이와 함께 꼬마 니콜라를 보았다. 오랜만의 프랑스 영화, 제대로 킹왕짱이었다. 서연이도 벼랑 위의 포뇨 이후 가장 유쾌하게 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