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황 2

from text 2009/12/22 15:33
저가 봉오리를 피어난 것으로 바꾸기에 밤새 함께 울었더니, 떨어져 내릴 때는 맺혔던 자리마저 가져가누나.

준탱이 들어왔고 날은 추웠다. 마음은 늘어졌으나 몸은 바빴고(일에서는 마음만 바빴고 몸은 늘어졌던 듯) 술자리에서만 한두 대 피우던 담배는 일상으로 돌아왔으며 술은 배로 늘었다. 서연이는 바둑 7급 승급 심사를 받았고 서율이 재롱은 늘었으며 비로소 나는 늙었다. 그리움은 쓸쓸한 연기처럼 재빨리 일상이 되었고, 달라진 건 없으나 모든 게 달라졌다.

살아가는 일이란 늘상 사소한 것에서부터 틀어지거나 꾸며지기 마련, 한없이 부풀다 지극히 사소해져버린 작은 몸짓은 알 수 없는 불가항력에 계속 몸을 내맡기고 만다.
Tag // ,

열하일기

from text 2009/12/10 13:46
돌베개에서 펴낸 완역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읽었다. 덜 끝낸 숙제와 마쳐야 할 산더미 같은 일들을 두고, KBS 1FM 세상의 모든 음악이 흐르는 저녁에, 때로는 한밤중으로부터, 때로는 콧날 시큰한 새벽에, 풍류와 교양과 운치를 읽어 내렸다. 이스마엘과 퀴퀘그, 에이허브에 오래 빠져들던 사이 잠시 펼쳐나 본다던 것이 이미 시작한 여행길을 놓칠 수 없었던 것인데, 가히 민족문학사와 세계의 고전으로 치켜세울 만했다.

박지원의 모습은 유학의 뿌리가 워낙 질기고 깊어서이기도 하겠지만 어렴풋이 갖고 있던 실학자의 상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그 시대에 세계를 주유하던 지식인들의 고졸한 품격은 아마도 (과학적)지식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삶의 태도에서 나오는 것이었으리라. 아무렴, 충분한 근대적 안목의 미비(물론 그럴 수밖에 없었으리라. 허나 신분제를 위시한 지배체제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 없는 것은 아무래도 불편했다. 그렇다하더라도 그보다 나을 것도 없는 체제에 살고 있으면서 그만한 인물과 담론이나마 찾을 길 없는 것은 행인가, 불행인가)를 아쉬워하기보다는 옛 사람의 산 같은 고담과 물 흐르듯 한 준론을 이렇게나마 엿볼 수 있음에 감사해야겠다. 다만 어제도 오늘도 없을 그 같은 담론의 자리와 그 곁자리에라도 끼일 수 없는 천박한 수준과 가련한 처지를 한탄할밖에.

열하일기를 읽던 어느 일요일 한낮, FM 우리가곡에서 테너 이영화의 겨울 강(한여선 시, 임준희 작곡)을 들었다.

마른 갈꽃 흔들며 겨울이 우는 소리
홀로 찾아와 듣는 이 누구인가
푸르게 흐르는 저 강물처럼
세월도 그렇듯 흘러갔거니
쓰러진 물풀 속에 길 잃은 사랑
하얗게 언 채로 갇혀 있구나
그 어느 하루 떠나지 못한 나룻배엔
어느 나그네의 부서진 마음인가
소리 없이 눈은 내려 쌓이는데
언 하늘 마른 가슴 휘돌아
또다시 떠나는 바람의 노래
나그네 홀로, 홀로 서서 듣고 있구나

아, 누구라서 이미 세상일을 알고 짐작대로 조각할 수 있을지언정 서로를 장담할 수 있겠는가.

그때는

from text 2009/11/22 19:09
한강의 연작소설,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 불꽃을 보았다. 오랫동안 허먼 멜빌의 백경을 보는 중에 잠시 집어든 것인데 단숨에 읽고 말았다. 애틋함을 넘는 어떤 저릿함이 있었다. 영혜와 그녀, 경계에 대한 금간 얼굴들에 경의를. 다음은 책의 맨 끝부분에서 한 구절.

꿈속에선 꿈이 전부인 것 같잖아. 하지만 깨고 나면 그게 전부가 아니란 걸 알지…… 그러니까, 언젠가 우리가 깨어나면, 그때는……

김애란의 소설집 침이 고인다와 달려라, 아비는 아껴 읽게 된다. 칼자국을 읽으면서는 서늘할 정도로 아름다운 말들의 잔치에 고마운 마음까지 들었다. 젠장, 백경을 썼을 때 허먼 멜빌의 나이가 서른셋이었고, 김애란은 80년생이다. 어제는 "햇살" 20주년 기념 파티가 있었다. 재학생과 졸업생 육칠십 명이 한데 엉겨 난장을 이루었다. 청년들은 살아있었고 모든 지나간 세대들의 우려는 역시 기우였다. 과연, 보태주는 것도 없으면서 함부로 왈가왈부할 일이 아니다.